안녕하세요.
건강하고 행복한 강아지들이 많아지는 그날까지 연구하는 작은 멍멍 연구소의 연구원 1입니다.
오늘은 소형견인 작은 강아지들에게 고질병처럼 자주 나타나는
슬개골 탈구에 대해서 연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몰티즈, 푸들, 포메라니안, 비숑 등에게 비교적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도 몰티즈인 강아지와 함께 생활하고 있습니다.
소형견과 함께 생활하시는 견주님들을 위해
미리 예방하자는 의미로 오늘의 연구 시작해 보겠습니다.
슬개골 탈구란?
슬개골 탈구는 강아지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슬개골은 무릎 관절의 일부로, 뼈와 힘줄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납니다.
슬개골 탈구 증상
1. 절뚝거림
슬개골 탈구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탈구된 다리에 가중을 주면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절뚝거리거나 다리를 들고 다닐 수 있습니다.
2. 다리를 들고 다님
탈구된 다리에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들고 다닐 수 있습니다.
3. 통증을 느낌
탈구된 무플을 만지거나 움직일 때 강아지가 통증을 느껴 낑낑거리거나 우는 등의 소리를 내거나
다리를 만지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4. 무릎 붓기
탈구된 무플에 염증으로 인해 붓거나 뜨거울 수 있습니다.
탈구 후 24~48시간 이내에 붓기가 가장 심하게 나타납니다.
슬개골 탈구 진단방법
1. 신체검사
수의사 선생님께서 강아지의 다리를 만지거나 움직여 탈구 여부를 확인합니다.
2. X-ray
X-ray를 통해 슬개골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확인하여 진찰합니다.
3. MRI 또는 CT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MRI 또 CT를 찍어보면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의 형태를 더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 치료방법
1. 경증 탈구
1) 자연적 회복
탈구된 슬개골이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2) 통증 관리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약을 처방받아 통증을 줄여줍니다.
3) 물리치료
근력 강화, 관절 운동 범위 개선, 불안정성 감소를 위한 물리치료를 시행합니다.
2. 중증 탈구
1) 수술
슬개골을 정상 위치로 되돌리고 인대를 강화하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탈구의 심각도, 강아지의 나이, 체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합니다.
또 수술 후에는 충분한 휴식, 통증관리, 물리치료등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슬개골 탈구 예방 방법
1. 체중 관리
강아지가 과체중 이상일 경우 슬개골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합니다.
꼭 적절한 체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2. 근력 강화
수영, 걷기, 물리치료 등 슬개골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3. 관절 보호
딱딱한 바닥에서 뛰거나 점프하는 것을 피하고,
부드러운 바닥에서 운동하도록 합니다.
4. 앞다리가 들리지 않는 하네스
목줄과 보통의 하네스는 앞다리 쪽에 착용을 하는 형태입니다.
산책도중 목줄과 하네스를 당기는 행동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때 강아지 앞다리가 들린다면 슬개골의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추천드리는 것은 뒷다리에 착용하는 하네스입니다.
마지막으로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 대하여
슬개골 탈구는 강아지에게는 흔히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특히 소형견을 키우는 견주님들께서는 미리 알아두고
예방해 주는 것이 정말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이상으로 우리 강아지와 함께 더 오래오래 행복해지는 방법을 주제로
연구를 하고 있는 작은 멍멍 연구소의 연구원 1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아지 정보 연구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닭가슴살 먹어도 될까요? (0) | 2024.03.13 |
---|---|
강아지 전복 먹어도 될까요? (1) | 2024.03.11 |
강아지 대파 먹어도 될까요? (1) | 2024.03.06 |
강아지 셀러리 먹어도 될까요? (7) | 2024.03.05 |
강아지 부추 먹어도 될까요? (0) | 2024.03.04 |
댓글